네팔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팔 왕국은 1768년 고르카 왕국의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네팔 지역을 통일하면서 건국되었다. 1814년 영국과의 전쟁에서 영토를 잃었지만, 독립을 유지했다. 1990년 입헌군주제로 전환되었고, 1996년 마오이스트의 무장 투쟁으로 내전이 격화되었다. 2001년 네팔 왕실 학살 사건 이후 마지막 왕 갸넨드라가 전제 정치를 펼치다 2007년 국민 투표로 군주제 폐지를 결정, 2008년 공화정으로 바뀌어 네팔 연방민주공화국이 되었다. 네팔 왕국은 5개의 개발 지역, 14개의 구역, 75개의 구로 행정 구역이 구성되었으며, 국왕 중심의 정치 체제를 유지하다가 민주화 운동을 거쳐 입헌 군주제로 변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 왕국 - 라스트리야 간
라스트리야 간은 1962년 네팔에서 국가로 채택되었으나 왕정 찬양 내용 비판으로 2007년 폐지되었으며, 박핫 바하두르 부다피르티가 곡을 쓰고 차크라파니 찰리세가 가사를 붙여 완성되어 네팔 음악계에 영향을 미쳤다. - 네팔의 옛 군주국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네팔의 옛 군주국 - 고르카 왕국
- 힌두 국가 - 마라타 제국
마라타 제국은 17세기 중반 시바지 보살레에 의해 건국되어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으나, 1818년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멸망했다. - 힌두 국가 - 트라방코르
트라방코르는 인도 아대륙 최남단에 위치했던 왕국으로, 12세기 초 베나드 왕국으로 시작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영국의 보호를 받다가 인도 독립 후 인도에 병합되어 케랄라 주가 되었다.
네팔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네팔 |
상태 | 주권 국가 영국 보호령 (1816–1923) (1947년까지 간접적 영향력 하에 있었음) |
존속 기간 | 1768–2008 |
정부 형태 | 단일 국가 절대 군주제 (1768–1990; 2002; 2005–2006) 군사 독재 하의 군정 (1776–1779; 1785–1804; 1806–1837; 1838–1846) 개인 독재 하의 세습 군사 독재 (1846–1951) 판차야트 체제 하 (1961–1990) 단일 국가 의회 입헌 군주제 (1990–2002; 2002–2005; 2006–2008) 임시 정부 하 (2007–2008) |
건국 | 통일, 프리트비 나라얀 샤 (1768년 9월 25일) |
멸망 | 공화국 (2008년 5월 28일) |
국가 모토 | Janani Janmabhūmishcha Swargādapi Garīyasī (산스크리트어) |
국가 모토 (번역) | 어머니와 모국은 천국보다 위대하다 |
국가 (1962–2006) | Srīmān Gambhīr (네팔어: श्रीमान गम्भीर) 영어 번역: "May Glory Crown You, Courageous Sovereign" (용감한 통치자, 당신에게 영광이 있기를) |
국가 (2007–2008) | Sayauṁ thum̐gā phūlakā (네팔어: सयौँ थुँगा फूलका) 영어 번역: "Made of Hundreds of Flowers" (수백 송이의 꽃으로 만들어진) |
수도 | 카트만두 |
공용어 | 네팔어 (공식) 네와르어 (초기 문학 및 행정 언어) |
종교 | 힌두교 (국교) |
통화 | 네팔 모하르 (1768–1932) 네팔 루피 (1932–2008) |
면적 | 140,800 km² (2008년 기준) |
정치 | |
국왕 | 국왕 마하라자디라자 (왕중왕) |
초대 국왕 | 프리트비 나라얀 샤 (1768–1775) |
마지막 국왕 | 갸넨드라 (2001–2008) |
총리 | 총리 |
초대 총리 | 다모다르 판데 (1799–1804) |
마지막 총리 |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2006–2008) |
섭정 여왕 | 왕비 |
최초 섭정 여왕 | 라젠드라 라자 락슈미 데비 (1777–1785) |
마지막 섭정 여왕 | 라자 락슈미 데비 (1824–1846) |
입법부 | 없음 (칙령 통치) (1768–1959; 2005–2006) 라스트리야 판차야트 (1962–1990) 의회 (1959–1962; 1990–2005; 2006–2007) 임시 의회 (2007–2008) |
상원 | 상원 (1959–1960) 국민 의회 (1990–2002) |
하원 | 하원 (1959–1960; 1990–2002) |
역사 | |
주요 사건 | 타파 총리 (샤 왕조 통치 하) (1806–1837, 1843–1845) 판데 총리 (샤 왕조 통치 하) (1799–1804, 1837–1840) 라나 정권 (샤 왕조 통치 하) (1846–1951) 판차야트 체제 (1960–1990) 입헌 군주제 (1990–2008) |
현재 국가 | |
기타 | |
인구 통계 | 네팔인 |
좌표 | 27°42′N 85°19′E |
2. 역사
고르카 왕국의 프리트비 나라얀이 1768년 네팔 지역을 통일하면서 네팔 왕국이 건국되었다. 1814년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영토 일부를 잃었으나, 식민지가 되지는 않았다.[44]
1990년 전제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바뀌었고, 1994년 총선에서 네팔 통일 사회주의당이 집권했다. 1996년부터 마오이스트들이 무장 투쟁을 시작하여 10년간 내전이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1만 3천여 명이 사망했다.[54]
2001년 네팔 왕실 학살 사건으로 비렌드라 국왕이 사망하고, 갸넨드라가 즉위했으나 전제 정치로 비판을 받았다. 내전이 격화되자 2007년 국민 투표로 군주제 폐지가 결정되었고,[55] 2008년 네팔 제헌 의회에서 왕정 폐지와 공화정 도입이 의결되면서 네팔 왕국은 네팔 연방민주공화국으로 바뀌었다.[56]
2. 1. 통일 이전
1484년, 라야 마야의 바크타푸르 마야 왕조에서 라트나 마야의 카트만두 마야 왕조가 독립했다. 1619년에는 시디 나라싱하 마야의 파탄 마야 왕조가 독립하면서 마야 왕조는 삼국 시대로 접어들었다.16세기에 야쇼 브라마 샤가 카스키 왕국(현 카스키 구)을 정복했다.
1559년, 야쇼 브라마의 아들 드라비야 샤가 고르카 왕국을 건국했다.[37] 당시 네팔은 많은 독립된 소국으로 나뉘어 있었고, 고르카는 24개국에도 포함되지 않을 정도의 작은 나라였다.[38]
2. 2. 네팔 통일
1743년,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고르카 왕국의 왕위를 계승하면서 네팔 통일이 시작되었다. 그는 1767년 키르티푸르 전투, 1768년 카트만두 전투에서 네와르족의 마야 왕조를 무너뜨리고 고르칼리 군대의 승리를 이끌었다. 같은 해 9월, 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네팔 왕으로 즉위했다.[39]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고르칼리 군대를 창설하여 통일 전쟁을 이끌었다. 고르칼리 군대의 초기 지휘관은 판데 가문, 바스니야트 가문, 타파 왕조와 같은 고르카의 체트리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특히, ''카지'' 칼루 판데는 네팔 통일 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누와코트 전투는 통일 과정의 첫 전투였다. ''카지'' 칼루 판데는 기습 전술을 통해 카트만두의 말라 왕의 요새인 누와코트를 점령했다. 이후 키르티푸르 전투에서는 고르칼리 군대가 큰 피해를 입었지만, 결국 키르티푸르를 함락시키고 카트만두 계곡 점령의 발판을 마련했다.
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마카완푸르가디 요새와 하리하르푸르가디를 점령하고, 벵골의 나바브 미르 카심과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원군을 격파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키르티푸르 전투에서의 승리 이후, 1768년에는 카트만두와 랄릿푸르를, 1769년에는 박타푸르를 점령하여 카트만두 계곡 정복을 완료했다.[6]
프리트비 나라얀 샤는 키라타 지역 정복에도 힘을 기울였다. ''사르다르'' 람 크리슈나 쿤와르와 아비만 싱 바스네트는 두드코시 강과 아룬 강을 건너 키라타족을 정복하고 영토를 넓혔다.
프리트비 나라얀 샤가 사망할 때까지 차우단디 세나 왕국과 비자이푸르 세나 왕국을 병합하고 부탄 왕국과 시킴 왕국과 국경을 접할 정도로 영토를 확장했다.[40] 그의 후계자들인 프라탑 싱하, 라나 바하두르는 22개국, 24개국을 차례로 병합하며 네팔 왕국의 영토를 더욱 넓혔다.[41]
2. 3. 영국과의 관계
18세기 말, 네팔은 티베트와의 무역 분쟁으로 청나라와 전쟁을 벌였다. 이 청·네팔 전쟁(1788-1792)에서 네팔은 수도 카트만두 근교까지 공격받았고, 결국 청나라의 조공국이 되었다.[42] 이후 네팔은 5년에 한 번씩 베이징에 조공사를 파견해야 했으며, 이는 1912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42]19세기 초, 네팔은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영-네팔 전쟁(1814-1816, 일명 구르카 전쟁)에서 패배했다. 1816년 수골리 조약을 체결하여 네팔은 테라이와 시킴 왕국 등 영토의 1/3을 상실했다.[44] 그러나 네팔은 영국의 보호국이 되었을 뿐, 왕정은 유지되었다.
1846년 이후 네팔 왕국의 실권은 라나 가문에게 넘어갔다.[45] 라나 가문은 친영 정책을 통해 영국의 지지를 받았으며, 인도 대반란(1857)과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등에서 영국을 지원했다.[29]
1923년, 네팔은 영국과 우호 조약을 체결하여 독립국으로 인정받았다.[46]
2. 4. 라나 가문 통치
1846년, 정 바하두르 라나는 코트 학살을 일으켜 라나 왕조를 세웠다. 이 사건으로 수백 명의 왕자와 족장들이 처형되었고, 네팔 국왕은 명목상의 지위로 전락했다. 이후 총리직은 라나 가문이 세습하며 강력한 권한을 행사했다.[27]라나 가문은 중앙 집권적인 독재 정치를 펼치며 네팔을 외부로부터 고립시키는 정책을 추구했다. 이는 대영 제국 시대에 네팔이 독립을 유지하는 데는 도움이 되었지만, 경제 발전과 근대화를 저해했다.[29]
라나 가문은 친영국 성향을 보이며, 인도 대반란 (1857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을 지원했다. 영국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20세기 초 중국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네팔의 독립을 지지했다.[29]
1923년 12월, 영국과 네팔은 1816년의 수가울리 조약을 대체하는 영원한 평화와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카트만두 주재 영국 대표의 지위는 공사로 격상되었다. 1924년에는 네팔에서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다.[30]
2. 5. 민주화 운동
1950년대 초, 트리부반 국왕은 '궁궐 감옥'에서 탈출하여 인도로 망명했고, 이는 라나 행정에 대한 무장 반란으로 이어졌다. 결국 샤 가문이 다시 권력을 잡고 비 라나 출신 총리가 임명되었다.[47] 망명에서 귀국한 트리부반 국왕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했다.1959년, 마헨드라 국왕은 헌법을 공포하고 네팔 최초의 총선을 실시했다. 선거 결과 네팔 회의파가 압승하여 비슈에슈와르 프라사드 코이랄라 내각이 탄생했다.[48]
그러나 개혁을 추진하려는 내각과 권력을 유지하려는 국왕 사이의 대립이 심해져, 1960년 마헨드라는 헌법을 정지하고 내각과 의회를 해산, 코이랄라 총리 등 정당 지도자를 체포하는 쿠데타를 일으켰다.[49]
1962년, 마헨드라 국왕은 정당 금지 등을 규정한 신헌법을 공포했다. 판차야트제라고 불리는, 국왕에게 매우 유리한 간접 민주제가 실시되었다. 총리의 임면은 국왕이 행했다.[50]
1972년, 마헨드라 국왕이 사망하고, 그의 장남 비렌드라가 왕위를 계승했다.[51]
1990년, 민주화 운동인 자나 안돌란이 거세지자, 비렌드라 국왕은 민주적 헌법을 제정하고 직접 선거에 의한 국회와 국회에서 선출되는 내각을 부활시켰다.[47]
2. 6. 네팔 내전과 왕정 폐지
1996년, 네팔 공산당(마오쩌둥주의)은 인민전쟁으로 알려진 마오이스트 혁명 전략을 통해 의회 군주제를 인민의 새로운 민주 공화국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시작했고, 이는 네팔 내전으로 이어졌다.[54] 바부람 바타라이와 푸슈파 카말 다할(가명 "프라찬다"로 더 잘 알려짐)가 이끄는 반군은 네팔의 5개 지역에서 시작되었으며, 여러 지역에서 지구 단위의 임시 "인민 정부"를 선언했다.
2001년 6월 1일, 디펜드라 왕세자는 총기 난사를 벌여 비렌드라 국왕과 아이슈와리야 왕비를 포함한 왕족 9명을 암살한 후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52] 왕세자는 살아남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부상으로 사망했고, 그 후 갸넨드라 왕자가 왕위를 물려받았다.
한편, 마오이스트 반란이 격화되었고, 2002년 10월 국왕은 임시로 정부를 해임하고 완전한 통제권을 행사했다.[34] 2005년 2월 1일, 갸넨드라는 정부 전체를 해산하고 각료의 조언 없이 행정 권한을 행사하기 시작했으며, 마오이스트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비상 사태"를 선포했다.
2006년 4월, 카트만두에서 벌어진 파업과 거리 시위로 인해 국왕은 의회를 복귀시킬 수밖에 없었다. 7개 정당 연합은 정부 통제권을 되찾았고 국왕의 권한 대부분을 박탈했다. 2007년 1월 15일 현재, 임시 헌법 하의 단원제 입법부가 네팔을 통치했다.
2008년 5월 28일, 네팔 제헌 의회는 첫 회의를 열고 압도적인 찬성 속에 왕정 폐지와 공화정 도입을 골자로 한 결의안을 채택하면서 239년 동안 이어졌던 왕정 체제가 끝나고 공화제로 변경되며 네팔 왕국은 네팔 연방민주공화국으로 교체되었다.[56]
3. 역대 군주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프리트비 나라얀 샤 | 1768년 - 1775년 | 1769년 왕국 통일 |
프라타프 싱하 샤 | 1775년 - 1777년 | |
라나 바하두르 샤 | 1777년 - 1799년 | |
기르반 유다 비크람 샤 | 1799년 - 1816년 | |
라젠드라 비크람 샤 | 1816년 - 1847년 | 1846년 라나 가문이 실권 장악 |
수렌드라 비크람 샤 | 1847년 - 1881년 | |
프리트비 비르 비크람 샤 | 1881년 - 1911년 | |
트리부반 비르 비크람 샤 | 1911년 - 1950년, 1951년 - 1955년 | 1951년 복위, 왕정 복고 |
마헨드라 비르 비크람 샤 | 1955년 - 1972년 | |
비렌드라 비르 비크람 샤 | 1972년 - 2001년 6월 1일 | |
디펜드라 비르 비크람 샤 | 2001년 6월 1일 - 6월 4일 | |
갸넨드라 비르 비크람 샤 | 1950년 - 1951년, 2001년 6월 4일 - 2008년 5월 28일 | 1951년 즉위 취소, 2008년 왕제 폐지 |
4. 행정 구역
네팔 왕국은 5개의 개발 지역, 14개의 구역, 75개의 구로 구성되었다.[1] 각 구는 법과 질서를 유지하고 다양한 정부 부처의 현장 기관 업무를 조정하는 책임을 가진 고정된 수석 구 공무원이 관리했다.
14개 구역은 다음과 같다.[1]
4. 1. 개발 지역
네팔은 5개의 개발 지역으로 묶여 14개의 구역과 75개의 구(지구)로 나뉘었다.
네팔의 5개 개발 지역은 동쪽에서 서쪽 순서로 다음과 같다.
번호 | 영어 이름 | 네팔어 이름 | 구역 | 구 (개수) | 행정 중심지 | 인구 | 면적 (km2) |
---|---|---|---|---|---|---|---|
1 | 동부 개발 지역 | पुर्वाञ्चल विकास क्षेत्र|푸르반찰 비카스 크셰트라ne | 메치 코시 사가르마타 | 16 | 단쿠타 | 5,811,555 | 28456km2 |
2 | 중부 개발 지역 | मध्यमाञ्चल विकास क्षेत्र|마드야만찰 비카스 크셰트라ne | 자나크푸르 바그마티 나라야니 | 19 | 카트만두 | 9,656,985 | 27410km2 |
3 | 서부 개발 지역 | पश्चिमाञ्चल विकास क्षेत्र|파쉬치만찰 비카스 크셰트라ne | 간다키 룸비니 다울라기리 | 16 | 포카라 | 4,926,765 | 29398km2 |
4 | 중서부 개발 지역 | मध्य पश्चिमाञ्चल विकास क्षेत्र|마드야 파쉬치만찰 비카스 크셰트라ne | 라프티 베리 카르날리 | 15 | 비렌드라나가르 | 3,546,682 | 42378km2 |
5 | 극서부 개발 지역 | सुदुर पश्चिमाञ्चल विकास क्षेत्र|수두르 파쉬치만찰 비카스 크셰트라ne | 세티 마하칼리 | 9 | 디파얄 | 2,552,517 | 19539km2 |
각 구는 법과 질서를 유지하고 다양한 정부 부처의 현장 기관의 업무를 조정하는 책임을 가진 고정된 수석 구 공무원이 관리했다.
4. 2. 구역
네팔은 5개의 개발 지역으로 묶여 14개의 구역과 75개의 구(지구)로 나뉘었다.
14개 구역은 다음과 같다.[1]
- 바그마티
- 베리
- 다울라기리
- 간다키
- 자나크푸르
- 카르날리
- 코시
- 룸비니
- 마하칼리
- 메치
- 나라야니
- 라프티
- 사가르마타
- 세티
5. 정치
1990년까지 네팔은 국왕 중심의 절대 군주제 국가였다. 1990년 민주화 운동 이후 비렌드라 국왕은 대규모 정치 개혁에 동의하여 국왕을 국가 원수로, 총리를 정부 수반으로 하는 입헌 군주제를 수립했다.
네팔의 의회는 양원제로,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205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네팔 하원과 60명으로 구성된 네팔 국가 평의회로 구성되었다. 국가 평의회는 국왕이 임명하는 10명, 하원에서 선출하는 35명, 마을 및 도시 의장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이 선출하는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의회 임기는 5년이었지만, 임기 만료 전 국왕이 해산할 수 있었다. 18세 이상의 모든 네팔 시민은 투표권을 가졌다.
행정부는 국왕과 각료 회의(내각)로 구성되었다. 선거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한 정당이나 연합의 지도자가 총리로 임명되었고, 내각은 총리의 추천에 따라 국왕이 임명했다. 1991년 이후 네팔 정부는 매우 불안정하여, 2년 이상 존속한 정부가 없을 정도였다.
2006년 4월, 민주화 운동으로 독재적인 국왕은 권력을 포기해야 했다. 해산되었던 하원이 복원되었고, 마오이스트 반군과의 평화 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끈 정부가 구성되었다. 임시 헌법이 공포되었고, 마오이스트 의원을 포함한 임시 하원이 구성되었으며, 의석수는 330석으로 늘어났다. 2007년 4월 네팔 공산당 (마오이스트)가 임시 정부에 참여하면서 네팔의 평화 과정은 큰 진전을 이루었다.[54] 2008년 5월 28일, 제헌의회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왕정 폐지와 공화정 도입을 결의하여 239년간 지속된 왕정이 막을 내리고 네팔 연방민주공화국이 수립되었다.[55][56]
6. 문장 및 국기
네팔의 문장과 네팔의 국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하라.
6. 1. 문장
네팔 왕국은 시대별로 다른 문장을 사용했다.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각 문장의 이미지만을 간략하게 제시한다.
6. 1. 1. 역사적 문장
6. 2. 국기
네팔 왕국은 시대별로 다른 국기를 사용했다. 1856년부터 1930년경까지, 1927년부터 1930년까지, 그리고 1930년경부터 1962년까지 사용된 국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하라.6. 2. 1. 역사적 국기
참조
[1]
웹사이트
A future written in the stars
https://www.nepaliti[...]
2019-12-20
[2]
서적
Nepal Bhasa Sahityaya Itihas: History of Nepalbhasa Literature.
Nepal Bhasa Academy
[3]
서적
Mesocosm: Hinduism and the Organization of a Traditional Newar City in Nepal.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4]
문서
History of the Nepal
Rolwaling press
[5]
문서
Queens of the Shah Dynasty in Nepal
[6]
서적
An Account of the Kingdom of Nepaul
https://archive.org/[...]
William Miller
2012-10-17
[7]
서적
Badamaharaj Prithivi Narayan Shah ko Divya Upadesh
Shree Krishna Acharya
[8]
서적
An Atlas and Survey of South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5-20
[9]
웹사이트
Nepal and Tibetan conflict
http://www.nepalarmy[...]
2017-04-29
[10]
웹사이트
Nepal:The Struggle for Power
http://countrystudie[...]
[11]
웹사이트
History of Nepal: A Sovereign Kingdom
http://www.nepalarmy[...]
2017-04-29
[12]
뉴스
Buddhist Monks and Rana Rulers: A History of Persecution
http://ccbs.ntu.edu.[...]
2013-09-17
[13]
뉴스
The Rana resonance
http://nepalitimes.c[...]
2001-02-16
[14]
웹사이트
Why Monarchy is necessary in Nepal?
http://www.theindiap[...]
2009-10-28
[15]
웹사이트
Nepal moves to become a secular republic
http://www.religious[...]
2008-01-18
[16]
문서
'Mechi-dekhi Mahakali, Vol. 3, Paschimanchal Bikas Kshetra'
[17]
웹사이트
King Dalsur Ghale Magar - Liglig-Kot, The Tradition of selecting the King - by Magar People
https://thehimalayan[...]
2016-10-08
[18]
문서
Adhunik Nepal-ko Itihas (1742–1961 AD).
Ratna Pustak Bhandar
[19]
웹사이트
Nepali Army | नेपाली सेना
https://www.nepalarm[...]
2018-11-20
[20]
서적
Notes on Nepal
Asian Educational Services
[21]
뉴스
Kirtipur: The Ancient Town on the Hill
http://www.nepal-tra[...]
2011-03-01
[22]
서적
History of Nepal
https://archive.org/[...]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2-11-07
[23]
뉴스
The city of good deeds
http://nepalitimes.c[...]
2000-11-24
[2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Nepalese Army
http://www.nepalarmy[...]
Nepalese Army
2016-10-07
[25]
웹사이트
Journal
http://himalaya.soca[...]
2018-11-20
[26]
문서
"The Rise of the House of Gorkha."
Patna Jesuit Society
[27]
서적
Thapa Politics in Nepal: With Special Reference to Bhim Sen Thapa, 1806–1839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8]
간행물
Janaral Bhimsen Thapa : Yinko Utthan Tatha Pattan
Education Book House
[29]
논문
British Diplomatic Views on Nepal and the Final Stage of the Ch'ing Empire (1910–1911)
https://sites.ff.cun[...]
2017-10-01
[30]
문서
Journey to Mustang, 1952
[31]
웹사이트
Nepal – The Panchayat System
http://countrystudie[...]
2017-08-06
[32]
문서
[33]
문서
People, politics and ideology: Democracy and Social Change in Nepal
Mandala Book Point
[34]
간행물
The Maoist Insurgency in Nepal
Routledge
[35]
웹사이트
When a king's looking-glass world is paid for in blood
https://www.theguard[...]
2006-02-02
[36]
뉴스
Nepalese monarchy to be abolished
http://news.bbc.co.u[...]
BBC
2007-12-25
[37]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38]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39]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0]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1]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2]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3]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4]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5]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6]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7]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8]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49]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50]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51]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52]
서적
世界歴史叢書 ネパール全史
[53]
뉴스
Nepalese monarchy to be abolished
http://news.bbc.co.u[...]
BBC
2007-12-24
[54]
웹사이트
https://m.hani.co.kr[...]
[55]
뉴스
네팔 왕조 240년 마감
http://news.media.da[...]
국민일보
2007-12-24
[56]
뉴스
네팔 239년 왕정체제 막 내린다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8-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